본문 바로가기

잡설91

셀트리온 코로나치료제 (CT-P59, 항체치료제) - 프랑스 장관의 본사방문 프랑스의 대외통상/투자유치장관이 방한중 셀트리온 본사 방문 지난 12월 18일, 17일부터 방한 중이던 프랑스 대외통상/투자유치장관인 리스테르가 셀트리온 본사를 방문했다. 길지않은 일정 중에 짬을 내어서 기우성 셀트리온 대표이사 부회장을 만나고, 셀트리온에서 개발 중인 코로나 항체치료제인 CT-P59 (레그단비맙)에 대한 설명을 듣고 셀트리온의 향후 현지 투자 전략에 대한 의견을 나누었다고 한다. 기사에 나온 리스테르장관 인터뷰 내용중에, "방한 전 방문국가에서는 따로 제약사를 만나는 일정은 없었으나, 셀트리온이 코로나19관련 해서 많은 진전을 보이고 있는 기업이기에 방문하였다"는 내용이 눈에띈다. 왜냐하면 프랑스 인구는 6500만명 가량인데, 지금까지 코로나19 누적확진자 숫자는 240만명이며, 하루 .. 2020. 12. 21.
경계성 인격장애 (선미, 경계선 인격장애, 성격장애) 얼마전 가수 선미가 예능프로그램에 출연하여 5년전 경계성 인격장애를 진단받았다고 고백하면서 경계성 인격장애에 대해 궁금증을 갖는 사람들이 많아진것 같다. 경계성 인격장애란? 경계성 인격장애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는 뇌신경정신질환중 하나로, 백과사전상 '자기상, 정서, 대인관계가 매우 불안정하고 감정의 기복이 매우 심한 인격장애'를 의미한다. 프로그램 방영시에 '경계선 인격 장애'라고 나와서 검색량 자체도 경계선 인격장애 키워드가 검색량이 훨씬 많았던 걸로 나온다. 영어 단어를 보면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라서 경계선이라고 해도 큰 의미차이는 없지 않나 싶다. 증상 경계성 인격장애를 앓고있는 환자들의 경우 대인관계에서의 어려움을 호소하거.. 2020. 12. 20.
대북전단 금지법 - 이게 뭔데? (대북전단 살포 금지법, 남북관계발전에 관한 법률 일부 개정안) 12월 14일 '대북전단금지법' 이라 불리는 남북관계발전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여당의 주도로 국회 본회의에서 통과되었다. 이 법안이 통과됨에 따라 군사분계선 일대에서 확성기를 이용한 대북방송과 전단 살포가 금지되었다. 이를 위반할 경우 '3년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게 된다. 법이 입법됨에 따라 전단 살포 행위에 대한 정의 또한 좀더 명확해졌다. 해당 법이 금지하는 범위가 전단 자체에 그치지 않고 그 동안 전단과 함께 뿌려온 달러화를 비롯한 다른 물건들의 살포도 금지되었다. 대북 전단 이란? - 대북전단의 역사 한국전쟁시작 이후, 남북간에 서로의 체제 선전과 귀순 권유를 위해 흔히 '삐라' 라고 불리는 전단을 서로에게 뿌려왔다. 심리전의 일환으로 6.25 전쟁 시에는 유엔군이 북한측.. 2020. 12. 16.
셀트리온 항체치료제 CT-P59 (코로나 치료제, 치료목적 사용승인) 셀트리온의 주주가 된지 약 5년째. CMO와 바이오시밀러를 주력상품으로 사업을 벌여왔었는데, 코로나 창궐을 계기로 회사의 이름을 더 널리 알릴 기회가 온것 같다. 애초에 회사에서 만들던 바이오시밀러들의 이름을 보면 Infliximab, Rituximab 등 ~mab 으로 끝나는데, 이게 monoclone anti body 단일 클론 항체의 줄임말이다. 즉 원래 만들던 의약품들이 항체성분이라는 것. 항체치료제라는 개념 자체가 바이러스를 항원으로해서 이 항원과 항원-항체 반응을 일으켜 독성을 중화하고 면역세포들이 없앨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다. 회사에서는 기존에 항체치료제를 만들던 노하우로 바이러스에 결합하기 가장 적절한 몇가지 항체들을 선별하여 치료제 개발에 나섰나보다. 금일 발표된 뉴스에 따르면 셀트리온.. 2020. 12. 15.